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5

[기초통계] 연관성 분석, 상관분석(공분산, 상관계수) - 연관성 분석 연관성 분석(association analysis)는 조사 대상에서 수집한 자료의 척도를 기준으로 변수들간의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분석 방법이다. 척도를 기준으로 변수간의 연관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분석 방법도 달라진다. 구분 척도 분석 방법 기타 변수의 개입 여부 상관분석 등간척도 비율척도 편상관분석 O 피어슨 상관분석 X 서열척도 스피어만 서열 상관분석 - 교차분석 명목척도 교차분석 - - 상관분석 연관성분석 방법 중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상관분석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일반적으로 상관분석이라 일컫는 분석은 위의 연관선 분석 표에 제시되어 있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뜻한다. 고로, 정확히 말하면 피어슨 상관분석에 대해 알아보려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관분석(c.. 2019. 9. 14.
[기초통계] 분산분석(ANOVA) 우선, 집단간의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에 대해 나름대로 표로 정리해보았다. 분산분석에 대해 한 눈에 볼 표를 찾는 사람이라면, 아래의 표를 참고하도록 하자. 집단간의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 두 모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 3개 이상의 집단에서 평균 차이를 검정하는 방법 분산분석(ANOVA) 모집단의 분산을 알 때 모집단의 분산을 모를 때 단일변량 분산분석 (종속변수 : 1개) 다변량 분산분석 (종속변수 2개 이상) 한 가지 요인을 기준으로 집단간의 차이를 조사할 때 두 가지 요인을 기준으로 집단간의 차이를 조사할 때 세 가지 이상의 요인을 기준으로 집단간의 차이를 조사할 때 한 가지 이상의 요인을 기준으로 두 가지 이상의 종속변수에 대해 조사할 때 z 분포 사용 (z-test) t 분포.. 2019. 9. 12.
[기초통계] 가설검정과 절차(가설,유의수준,기각역,양측검정,단측검정) - 가설과 가설검정 가설(hypothesis)이란 주어진 사실 혹은 조사하고자 하는 사실이 어떠하다는 주장이나 추측을 말한다. 통계학에서 모수를 추정하는 것도 추론이지만, '모수가 어떠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그 가정이 맞는지에 대한 확인 과정도 추론이라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를 가설검정이라고 하며, 가설검정은 주어진 유의수준 하에서 주장이나 추측이 일정 신뢰구간에 포함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 가설검정의 절차 : 가설 수립 > 유의수준 결정 > 기각역 설정 > 통계량 계산 > 의사결정 ] 가설검정의 절차를 이해하며, 이에 필요한 개념들을 하나씩 익혀보도록 하자. 1. 가설 수립 가설검정의 첫번째 단계인 가설 수립 단계에서는,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수립해야 한다. - 귀무가설 귀무가설(.. 2019. 9. 11.
[기초통계] 표준편차 vs 표준오차 - 표준편차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표본평균($\bar{x}$)으로부터 표본들의 흩어져 있는 산포를 나타내기 위해, 분산을 먼저 구한 뒤 다시 제곱근을 취한 값이다. 모평균을 알 수 없으므로 표본평균으로 모평균을 추정하며, 표본의 분포를 확인하고자 표준편차를 구한다. 즉 표준편차를 구하는 이유는, 모평균을 추정하기 위해 표본을 추출하여 평균을 구하고 그 평균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표준편차를 구하는 것이다. 표준편차를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 $ S = \sqrt{\frac{1}{n-1}\sum_{i=1}^{n}(x_i-\bar{x})^2} $ - 표준오차 표준오차(standard error)는 모평균을 추정하는 표본평균의 산포도, 즉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2019. 9.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