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통계] 기술통계 vs 추론통계, 점추정 vs 구간추정, 신뢰수준, 신뢰구간
- 기술통계와 추론통계 기술통계 추론통계 표본으로부터 통계량을 구하고 통계량 간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 표본을 통해 모집단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추론통계에서는 모수를 특정 수치나 수치의 범위로 표현한다. - 추정이란? 추정(estimation)의 사전적인 의미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이 정도면 될 것이라는 정도를 가늠하는 것'이라 표현된다. 이 '정도'를 가늠하는 방법에는 정확한 수치로 나타낼 수도 있고, 시작점과 종료점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아래서 언급하겠지만 전자를 점추정, 후자를 구간추정의 방법이라 한다. 추정을 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표본을 $x_1, x_2, x_3, ... , x_n$이라 할 때, 이를 대상으로 계산하여 구체적으로 도출된 통계량을 추정치(estima..
2019. 9. 8.
[기초 통계] 표준화, 정규분포, z분포, t분포, 카이제곱분포, F분포
- 표준화 표준화란 기준점을 동일하게 맞춰 조사자가 자료들을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과정으로, 대표적인 표준화 분포인 표준정규분포(z분포)는 평균을 0, 표준편차를 1로 만든다. 표준화과 필요한 이유는 다음의 예시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예시) A가 영어 80점, 수학을 70점 맞았다고 했을 때, 영어를 더 잘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가? 위의 예시에서 단순히 점수를 비교한다면 영어의 점수가 더 우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반 평균 점수가 영어의 경우 90점, 수학의 경우 60점이라 한다면, 위의 판단이 틀렸다는 것을 알 수있다. 위의 판단의 오류를 방지하려면, 각 과목 점수에 대한 표준화를 실시하여 기준점을 동일하게 맞춘 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이다. -..
2019. 9. 4.